ㅁ 근황 및 공지
- 다음주 (월) 제이슨님 히말라야 등산, 무사히 갈 수 있도록 기원
- 1기 수진님 미팅 조인, DAO로 산전수전 겪은 분
ㅁ 연구팀 발표 - 한국 조직문화에서 작동했던 메타 거버넌스
주제3번_한국유래 메타 거버넌스_임작가, 그린셔스, 고광현.pdf
1. 고광현님 - 두레
- 역사와 의미
- 두레는 농부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마을 공동체 조직문화
- 삼한시대부터 유래, 조선시대 발전.
- 쌀농사 중심, 마을의 공동체 우선, 약자 배려 문화, 공동 소유 및 공동 경작
- 다정하고 끈끈한 인간관계(情)가 바탕
- 1마을 1두레 원칙, ‘들독들기’ 같은 테스트를 통해 노동력을 증명받아야 참여 가능
- 1차 목적이 공동노동, 생산조직이지만, 친목도모의 공동체 역할하기도
- 거버넌스 구조
- 호미모듬 : 역원 선출, 민주적인 결정, 의식
- 호미씻이(호미걸이): 음력 7/15 전후로 마을 주민이 모여 노는 행사
- 기타 부대 놀이/잔치 : 고된 노고를 음식과 놀이로 품
- 모순과 소멸
- 불균등한 토지 개인 소유, 자본주의로 인해 성격이 변질됨
- 전체 경지를 하나의 공동경영지로 간주하던 과거와 달리, 경지면적의 차이가 심해지자 불만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구조
- 두레 능률 저하, 유지/제고시킬 공동체의 강제력 약화
- 현대적 효용성
- 자발적 주민참여사업체와 같은 곳, 지방지원사업, 문학 작품 등
- 품앗이
- 두레보다 먼저 나온 개념
- 상호성, 공동체, 경제적 효율성, 문화적 전승이 특징
- 남성과 여성, 장정과 소년의 노동력이 동등
- 품앗이 시스템이 발전한게 두레
- 품앗이 현대적 효용성 : 독거노인, 1인가구, 육아 등에 적용

- (위 도표 관련 이야기)
- 정기모임을 도입해보는 것(proposal) 1년에 2번 모여보자. 이렇게 정할 수 있다.
- 기여의 강제성이 없으면 힘이 빠지는 경우가 있음. 눈팅족들에 대한 불편, 이런 부분의 강제성(수위) 조절해서 설정하는 건 어떨지.
2. 그린셔스님 - 어촌
- 특성 및 발전 양상
- 자생적 협동조직에 기초, 가난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생업 활동 전개
- 일손 부족, 자리를 메꿔준 건 외국인 노동자 → 어로 행위 변화 및 다문화 마을로 변화, 어촌의 관광지화 경향 뚜렷해짐
- 어장 수입이 성균관 유생 교육비로 쓰이기도
- 공동체 조직 특성
- 조선 후기 어업 발달 : 자연 환경적 조건, 사회문화적 배경이 어우러진 결과
- 지역의 수산업 기초조직
- 조선시대 이전에는 어촌 부락, 조선시대에는 어망계, 어선계, 일제강점기에는 어업계, 해방 이후에는 어촌계로 불리게 됨
- 발달 배경
- 자연 환경적 조건 : 삼면이 바다, 국토면적에 비한 해안선 길이 비율 세계 최장, 육지면적 7배
- 사회 문화적 배경 : 어촌 공동체 형성 활발, 발전된 어로와 어구
- 조선시대 어업공동체 특징
- 어민들이 어업을 통해 생계 유지, 공동체 내에서 서로 돕고 협력, 어장주와 어민이 함께 참여하여 경영
- 제주 해녀 집단 - 위험하고 연령대가 다양(고령~어린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