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 일본 커뮤니티 내용 공유 (윈즈, 애진, 은서, 그린셔스, 존, 한, 길 참여)
DAO Lab season2 - (3) Community Case Study and DAO Framework_240515.pdf
[Quick memo] Nishikihoi 마을 디스코드 리뷰
- NFT 관련 채널이 있고, 야마코시 다오와 관련한 채널이 있음. 전부 일본어로 되어있는데, 행사가 많이 올라오기는 함. 야마코시 마을 따라한 텐류쿄와 시바 빌리지 같은 채널들도 생김.
- 주요 대화내용 중에는 “NFT 가진 사람들에게 뭘 줄까” 같은 내용도 있고. 외부인들보다 일본 사람들이 주로 많은 듯
[본문]
왜 일본을 골랐나?
- 웹3를 정책적으로 지원. 웹2 시절에 권력을 빼앗긴 것에 대한 아쉬움이 반영된 듯
- 2014년 마운틴곡스 사태 이후에 규제가 강력해지면서 이후에 벌어진 루나나 FTX 사태때 일본 내에 영향이 적었음
- IP가 강한 나라다보니, 웹3 기반의 프로젝트를 하기에 적합하다는 정책적 선택도 있었음. 또한 주로 현금으로 거래하는 문화적인 측면을 바꾸는 데에 웹3가 사람들을 움직이기에도 좋다는 판단.
- 일본인에게 ‘조화(와)’ 정신이 매우 익숙한데, 개인보다 집단 내 조화를 강조하다보니 DAO도 성격 자체가 잘 어울림
<사례연구>
히가시카와
- 일본 북해도 가운데에 있는 대설산 앞 작은 도시. 인구소멸 위기지역이었는데 근래 유입 늘어났고,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음(8천명).
- 이곳의 세가지 특징은 상수도와 철도, 그리고 고속도로가 없음(3무). 그러나 맛있는 지하수가 있고, 물이 좋아 쌀이 맛있고, 자연이 보존돼 경관이 뛰어나다(3유)로 브렌딩.
- ‘사진 마을’로 선언했고, 사진판 '고시엔'을 시작. 나무가 좋아서 가구(의자) 프로젝트 시행. 초등학교 건물이 유명하고, 일본어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을 위한 프로그램도 성황리 운영중이며, 인생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지방 활성화 인재 지원 정책 활용함.

팜프라 사례
- 시골에 귀농한,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찾고 싶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 남해에서 팜프라촌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소프트웨어는 옆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