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이센싱 엑스포 참석기 (수련님)

    1. 콘텐츠진흥원을 통해서 한국관으로 참가
      1. 전시/ 이벤트/ 파티/ 네트워킹
        1. NFT관련 프로젝트
        2. 버츄얼 아이돌 관련 기업들도 참가
      2. LOCO
        1. 주요 보유 IP
          1. 스노우캣
          2. 프링
          3. 키스타,
          4. 프린승 보으 아크리아 등
        2. LOCO 상품화 사업
          1. 공연/전시/ 웹툰/ 이모티콘/ 샵/ 게임 등 운영
          2. 굿즈 (완구/출판/생활용품/패션/ 에프엔비; 아동용/성인용 나누어)
            1. 머천다이징
            2. 라이센싱
        3. LOCO SNS 콘텐츠 마케팅
          1. DAO를 한다면 숏폼 (틱톡 등) 수단을 활용한 홍보를 고려할 수 있겠음
          2. LOCO USA TEAM : 틱톡 챌린지 등 활용
            1. 한국관에서 관람객들이 직접 챌린지 참여 (프린세스 프링)
            2. 해외 팬분들이 야외에서도 참여함
            3. 비행기에서도 커플 섭외하여 참여시킴
      3. 퍼지펭귄 상품화 사례 << 제일 기업에 남은 사례
        1. 대홍기획에서 블루침 NFT 퍼지펭귄과 라이센스 계약 체결
          1. 캐릭터/애니메이션 사업 하는 측에서 인사이트가 있었음
        2. 퍼지펭귄 생태계
          1. 커뮤니티 : 퍼지펭귄 미디어
          2. 상품화/유통 : 퍼지토이즈 (대형 유통사 통해서 진행)
          3. IP 라이센싱 : Overpass IP
          4. 메타버스
      4. 굿즈 제작 프로젝트를 같이 해보면 좋을 것 같다!
        1. 약간의 비용을 각출해서 테스트해보아도 좋을 듯

          1. 디자인 / 제작
          2. 봉제 키링에 카드형 NFT 지갑 같은 것을 만들어서 수료증 같은 것을 넣으면 어떨까 생각하여봄

          ===============================================

  2. 다오랩 아이덴티티 분석 (릭님)

    1. 마션 - ㅈ된거 같다.. 쉽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2. 엉뚱한 산에 갔다왔다. 그 원인은 나(릭님) 이었던 것 같다. 망치를 든 사람에게는 모든것이 못으로 보인다. 아이덴티티도 브랜딩 작업이라고 생각함. 말하고 얼룩말이 다르듯이 서로 다른 것이구나를 깨달음. 2개의 작업에 쓰이는 툴은 완전히 다름.

    3. 차후 토론 세션과 향후 다오랩의 아이덴티니 설정에 있어서 길잡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1. 브랜딩 vs 아이덴티티 차이
        1. 목적 :

          1. 브랜딩 - 변별력이 중요 (외부를 대상으로 함)
          2. 커뮤니티 아이덴티니 - 대내적인 것이 더 강하다고 생각됨. 핵심가치/목표/문화를 얼마나 잘 만드느냐가 더 핵심
        2. 접근방식

          1. 외부 전략과 시각적 요소
        3. 초점

          1. 브랜딩 : 시각적 일관성 외부적 요소
          2. 커뮤니티 : 내부의 문화 /가치/목적—> 참여와 소속감 증진
        4. 요약

          1. 일반적 브랜딩은 외부 시장과의 소통이 목적이라면 커뮤니티 아이덴티니는 내부 구성원의 이해와 소통을 증진시키고 구성원들이 공통의 목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함
    4. 다오랜 아이덴티티 파악에 필요한 모델은?

      1. 조하리의 창

      Untitled

      1. 나 = 제이슨 / 타인 = 우리들
      2. 존 말코비치 되기 —> 우리는 제이슨(한재선) 되기

    ii. 조하리의 창을 이용한 다오랩 아이덴티티 분석

    Untitled

  3. 개방적 영역 : 창립자와 멤버가 모두 아는 영역 —> 점점 확장되어야 함

기본 목표와 목적 / 커뮤니티활동의 기본 구조와 운영방식/다오랩의 주요가치

  1. 맹목적 영역 (blind area) —> 점점 축소되어야 함
    1. 창립자는 모르나/ 멤버들이 아는 영역

    2. 숨겨진 영역 (hidden area) —> 축소되어야 함

    3. 미지의 영역 (unknown) 창립자와 멤버가 모두 모르는 정보 : 재미있는 분야

      1. 잠재된 기회와 위협
      2. 새로 다가올 도전과제
      3. 차후 발견 가능한 혁신적 아이디어와 프로젝트

================================================================

  1. 협업 과정에서의 LESSON LEARNED (지은님)
    1. MBTI : 모두 EN** <<
      1. 창의성과 학구열이 모두 높았다. (아이디어를 발산하기를 좋아함)
    2. 이해관계자 DAO 프레임워크 주제
      1. 9개 주제 중 2개 (멤버십과 아이덴티티 + 세계관)
      2. 진행